스낵 지식 15

인코텀즈(incoterms)란? IFRS 수익인식과의 연관성

다른 국가에 있는 회사에 물건을 팔 경우를 가정해보죠.판매자는 물건을 잘 포장에서 수출하는 선박에 실었다고 하는데, 구매자가 받고나서 보니 파손되었을 경우엔 누구의 책임으로 보아야 할까요? 이렇게 국가간의 거래에서 판매자, 구매자 간의 책임, 비용, 위험의 분기점이 명확하지 않아 생기는 오해와 분쟁을 방지하고자 만들어진 표준화된 규칙이 인코텀즈(incoterms)입니다. 인코텀즈는 국제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이하 ICC)가 제정했고, 1936년 처음 제정된 이후 개정을 거듭해 현재 시점에선 2020년도 개정판이 최종 버전입니다. 아래 ICC 공식사이트에서 회원가입만 하면 자료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Incoterms® rules - ICC - In..

스낵 지식 2025.06.19

정보가 돈이라는 말을 다룬 이론: 효율적 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이란?

국내 주식시장이 3천피를 바라본다는 게 얼마만인지 모르겠습니다. 많은 투자자분들은 요새 투자할 맛 나실 것 같은데요.주식 투자를 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정보의 격차는 곧 수익과 직결됩니다. 재무관리를 과목으로 공부하다보면 이러한 정보의 격차에 대하여 연구하고 정리한 이론이 있는데 흔히들 효율적 시장가설(EMH, Efficient Market Hypothesis)라고 칭합니다.투자할 회사를 찾아보다가 갑자기 이론이 생각난김에 포스팅해보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시작합니다.1. 효율적 시장가설이란?2. 효율적 시장가설의 단계3. 효율적 시장가설의 실용적인 의미1. 효율적 시장가설이란?효율적 시장가설은 유진 파마(Eugene Fama)라는 201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에 의해 제시된 내용입니다. 유진 파마는 현대..

스낵 지식 2025.06.18

거침없는 퇴사의 이유를 찾아: 아담스(Adams)의 공정성 이론

사회현상으로 MZ세대의 퇴사율이 높다라는 기사는 많은 분들이 이미 접하셨을텐데요.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비단 MZ세대의 퇴사율이 높다기보다는 사회 전반에서 평생직장의 개념이 약해지고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업력이 오래된 회사에 입사한 젊은 직원들에게는 불공정하다고 느껴질만한 요소는 참 많고, 더 이상 참고만 사는 것이 미덕은 아닌 시대가 된 것은 확실한 트렌드 같습니다.제 생각에는 요즘 세대가 가장 못참는 부분이 이미 세팅된 사회의 룰에 의해 정해진 준거적 권력에 무지성으로 따르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불공정을 그저 넘기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구나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가 이유는 알수 없으나 과거 경영학 기본서에서 보던 이론이 하나 생각나서 끄적여보기 시작합니다...

스낵 지식 2025.06.17

ETF 투자시 알아야 할 주당순자산가치(NAV)와 괴리율의 의미

이제는 개별주식 투자만큼이나 ETF 투자를 하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은퇴 포트폴리오를 보다보면 QQQ나 SCHD같은 간판 ETF들이 항상 언급되는 것 같은데요.ETF 투자시에 알아두면 좋은 개념들인 주당순자산가치와 괴리율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려봅니다. [출처: 네이버 증권]위와 같은 포털사이트 증권 화면을 보셔도 NAV, 괴리율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이 정보들은 실시간으로 공시될 정도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정보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으니, 무슨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겠죠. 1. 주당순자산가치(NAV)의 의미2. 괴리율의 의미​1. 주당순자산가치(NAV)의 의미먼저, NAV(Net Asset Value)는 ETF의 주당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펀드의 순자산총액을 총발행주식수로 나누어..

스낵 지식 2025.06.12

미국 재무제표 보는법, 미국 전자공시시스템: Edgar 사이트

주변에 미주를 투자하는 분들의 비중이 정말 높아진 것 같습니다.배당주를 선호하는 저에게도 선택의 폭이 정말 넓은 미주는 정말 매력적인지라 최근엔 미국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보는 빈도가 점점 늘어나는 것 같은데요.영어의 압박이 있긴하지만 관심있는 분들을 위해 미국의 전자공시시스템 격인 Edgar 사이트를 간단히 소개해봅니다. 1. 미국의 전자공시시스템 EDGAR2. EDGAR 페이지 소개3. 주요 보고서 명칭: 10-K, 10-Q, 8-K 1. 미국의 전자공시시스템 EDGAR미국의 전자공시시스템인 EDGAR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글에 EDGAR로 검색하셔도 상단에 노출되구요. https://www.sec.gov/edgar/search-and-access 위의 Edgar-search and Access..

스낵 지식 2025.06.11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차이(HMM, 팬오션), TEU의 의미

해운사의 보고서를 읽다보면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이라는 용어가 나옵니다.저는 이쪽 지식이 매우 얕다보니 처음에는 그냥 종류가 다른 운송 방식이라고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었는데, 이쪽을 잘 아시는 분들은 명확하게 구분지으시더라구요.요즘 이 동네를 좀 공부하고 있다보니 해운사 보고서를 이해하는 데 기본 개념이라는 생각이 들어 몇줄 적어보려합니다.1.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차이컨테이너선은 위와 사진처럼 배위에 컨테이너를 쌓아서 운반하는 형태의 배입니다. 해운사의 사업보고서를 읽다보면 TEU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이것이 컨테이너의 표준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컨테이서너의 크기를 가늠해보려한다면 표준 크기의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운임이 어떻게 되는지 하역할 수 있는 용량이 어떻게 되는지를 비교해보면 되겠죠. 2...

스낵 지식 2025.06.08

매슬로우 욕구단계이론: 경제적 자유 이후의 삶?!

어느 정도 원하는 부를 모두 축적하고 나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저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기보다는 내가 하고 싶은 (블로그를 포함한) 창작활동이나 운동을 원없이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여행이나 떠나고 싶다는 분들도 있었고, 주변 사람들과 함께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이런저런 재밌는 것을 같이 하고 싶다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이런저런 희망회로 가득한 이야기를 하다보니 문득 회계사 수험생 때 공부한 욕구단계이론이 떠올랐습니다. 가끔 살다보면 예전에 경영학 이론에서 등장하는 개념들이 이런 것을 정리해 놓은 건가라는 생각이 들때가 있는데, 그런 경우인거죠.​아무튼 그냥 생각난김에 경영학 시험의 단골 주제중 하나기도 한 매슬로우 욕구단계이론을 써봅니다.1. 심리학자 매슬로우2. 욕구단..

스낵 지식 2025.06.04

석유화학 산업의 업스트림(Upstream), 다운스트림(Downstram)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은 업황이 그다지 좋지 못하죠. 롯데 계열의 든든한 캐시카우였던 롯데케미칼의 적자는 현재 업황을 보여주는 사례 같습니다.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산유국의 석유화학 회사들이 가지고 있는 원가경쟁력에 밀리는데다가 높은 환율과 높은 유가가 이어지고 있으니 비싼 원유 조달은 피할 수 없겠습니다. ​이 와중에 일부 석유화학 회사들은 업황이 개선되고 일부 회사들은 그렇지 못하는데 약간의 산업을 이해하면 이 구분을 더 지을수 있기에 관련된 개념을 가지고 와봤습니다.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이 그것인데요.​기사를 읽다보면 위와 같이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으로 인해 석유화화 회사들의 희비가 갈린다라는 워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이 무엇인지 알면 기사를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겠..

스낵 지식 2025.06.01

자사주 매입과 이익소각: 주주환원의 가장 확실한 수

우리나라에서도 밸류업 프로그램과 같이 회사의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가장 발달한 자본시장인 미국처럼 이익소각이나 배당 확대와 같은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고 이를 확대해가는 회사가 점점 많아지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죠. 이러한 배경에서 많은 회사들의 주주환원정책 관련 공시나 기사가 요즘은 정말 많이 보입니다. 대부분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실행방안은 ① 매출, 이익 증가, ② 배당 확대, ③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인데요.매출, 이익 증가와 배당 확대는 대충 생각하기로도 회사가 더 열심히 돈 벌겠다는 것과 벌어온 돈을 주주들과 더 많이 나누겠다는 이야기니 아주 직관적이지만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앞의 방안들보다 잘 와닿지 않는 분들도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재무나 ..

스낵 지식 2025.06.01

PER, PSR, PBR, EV/EBITDA, EV/Sales: 기업의 시장평가를 보여주는 멀티플(Multiple)들

투자자에게 좋은 기업이란 이익을 안겨주는 기업입니다. 그리고 그런 투자이익에는 매매차익과 배당금이 떠오를 것이구요. 즉, 주가가 많이 오르거나 배당을 잘 주는 기업을 투자자들은 좋아할 수 밖에 없죠.CSR이나 ESG와 같이 우리 곁에는 항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지만, 개인적으로는 일단 범법을 일삼지 않는다면 본업은 못하면서 사회적 책임만 바라보는 회사는 요란한 빈수레겠죠. 주가에 대해 한단계 더 말해보자면 주가는 실적에 '멀티플'을 적용한 결과물입니다. 회사의 실적은 공시를 통해 객관적으로 주어지는 값이고, 여기서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기업은 높은 멀티플을 부여받고 높은 시총을 가지게 되겠죠. 그것이 회사의 공정가치구요. 계속 당연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우리는 실적이 좋고, 멀..

스낵 지식 2025.06.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