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낵 지식 16

PER, PSR, PBR, EV/EBITDA, EV/Sales: 기업의 시장평가를 보여주는 멀티플(Multiple)들

투자자에게 좋은 기업이란 이익을 안겨주는 기업입니다. 그리고 그런 투자이익에는 매매차익과 배당금이 떠오를 것이구요. 즉, 주가가 많이 오르거나 배당을 잘 주는 기업을 투자자들은 좋아할 수 밖에 없죠.CSR이나 ESG와 같이 우리 곁에는 항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지만, 개인적으로는 일단 범법을 일삼지 않는다면 본업은 못하면서 사회적 책임만 바라보는 회사는 요란한 빈수레겠죠. 주가에 대해 한단계 더 말해보자면 주가는 실적에 '멀티플'을 적용한 결과물입니다. 회사의 실적은 공시를 통해 객관적으로 주어지는 값이고, 여기서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기업은 높은 멀티플을 부여받고 높은 시총을 가지게 되겠죠. 그것이 회사의 공정가치구요. 계속 당연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우리는 실적이 좋고, 멀..

스낵 지식 2025.06.01

BBCHP(소유권이전부 나용선, Bareboat Charter Hire Purchase) 계약이란

HMM같은 해운사 재무제표를 읽다보면 다소 생소한 용어인 BBCHP가 눈에 들어옵니다.HMM와 같은 해운사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해서 짚고 넘어가면 좋은 개념이다보니 글로 정리해도록 하죠. 1. BBCHP의 의미: Bareboat Charter Hire Purchase, 소유권이전부 나용선) BBCHP는 Bareboat Charter Hire Purchase의 약자입니다. 이 개념을 좀 나눠서 써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 나용선(Bareboat Charter): 선박의 선체를 통째로 빌리는 계약으로, 용선자가 운행에 따른 비용을 부담- 국적취득조건부 (Hire Purchase): 용선 기간이 종료되면 용선자가 선박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조건이 붙은 계약 이 계약의 개념을 단순화하면 일정 기간 동안 용선자가..

스낵 지식 2025.06.01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의 이해, 회계처리

금융자산 중에서 마지막으로 정리해보는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입니다. '만기보유증권'이라는 용어에 익숙하셨던 분이라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질적인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앞선 포스팅에서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측정 금융자산을 살펴보았으니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이 관련해서는 마지막 정리가 되겠습니다.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을 다룬 아래 글들과 같이 읽으시면 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공부가 될 것 같네요. 아래 링크 참고 하시구요. https://lansenpai.tistory.com/2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이해, 회계처리2018년 금융자산 기준서가 개정되면서 기존에 단기매매증권이라는 용어로 익숙했던 개념이 당..

스낵 지식 2025.05.31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이해, 회계처리

금융자산 기준서 개정전 매도가능금융자산이라는 이름으로 친숙한 자산들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라는 계정명으로 바뀌었습니다. 일반적인 금융자산 중에 가장 볼 내용이 많은 자산은 이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인데요. 읽기전에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에 대한 글도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https://lansenpai.tistory.com/2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이해, 회계처리2018년 금융자산 기준서가 개정되면서 기존에 단기매매증권이라는 용어로 익숙했던 개념이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라는 다소 생소한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016년 회lansenpai.tistory.com 1.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Fair Value throug..

스낵 지식 2025.05.31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이해, 회계처리

2018년 금융자산 기준서가 개정되면서 기존에 단기매매증권이라는 용어로 익숙했던 개념이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라는 다소 생소한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016년 회계사 시험 합격 이후인지라 수험생이 아님에도 기준서를 찾아보면서 꽤나 귀찮았던(?) 기억이 있는 변화이기도 했습니다. 금융자산을 크게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개념 차이는 제법 명확한 편이기 때문에 글로 담아봅니다. 금융자산은 파고들면 한도끝도 없지만 실무적으로도, 통상의 목적으로도 채무증권(채권)과 지분증권(주식)의 처리정도만 머릿속에 담으면 충분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가급적 깔끔(?)하게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당기손익-공정..

스낵 지식 2025.05.31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종류와 그 의미(적정의견 / 한정의견 / 부적정의견 / 의견거절)

많은 분들이 감사보고서의 의견 부분을 읽지는 않습니다. 거의다 적정의견이 나오다보니 그 부분에 대해서는 딱히 읽어야 할 유인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겠죠. 대신 가끔 보이는 의견거절이나 부적정의견같은 의견 변형의 경우 그만큼 파급력이 있습니다. 올해초에는 이차전지 관련주로 많은 분들께 알리진 금양의 감사보고서가 의견거절이라는 뉴스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위의 기사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감사보고서의 의견 거절은 상장폐지 사유이기도 하죠.이번 글에서는 감사의견의 종류와 그 의미를 간단히 정리해보려 하는데, 그 전에 분/반기보고서에서 볼 수 있는 검토보고서와 사업보고서에서 볼 수 있는 감사보고서의 의미 차이도 설명드려봅니다. 1. 감사보고서와 검토보고서의 차이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사업보..

스낵 지식 2025.05.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