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상식 3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차이(HMM, 팬오션), TEU의 의미

해운사의 보고서를 읽다보면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이라는 용어가 나옵니다.저는 이쪽 지식이 매우 얕다보니 처음에는 그냥 종류가 다른 운송 방식이라고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었는데, 이쪽을 잘 아시는 분들은 명확하게 구분지으시더라구요.요즘 이 동네를 좀 공부하고 있다보니 해운사 보고서를 이해하는 데 기본 개념이라는 생각이 들어 몇줄 적어보려합니다.1.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차이컨테이너선은 위와 사진처럼 배위에 컨테이너를 쌓아서 운반하는 형태의 배입니다. 해운사의 사업보고서를 읽다보면 TEU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이것이 컨테이너의 표준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컨테이서너의 크기를 가늠해보려한다면 표준 크기의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운임이 어떻게 되는지 하역할 수 있는 용량이 어떻게 되는지를 비교해보면 되겠죠. 2...

스낵 지식 2025.06.08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의 의미

배당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불황인지라 안전한 배당주를 찾는 것 같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만큼 패시브 인컴에 사람들의 관심이 뜨겁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요. 배당주를 보실 때 기억해야 할 개념인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을 간단히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1. 배당수익률 = (주당 연간 배당금 / 주식가격) x 100배당수익률은 수익성을 볼때 가장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인 지표입니다.주당 배당금을 주식 가격(시가)로 나눈 값인데요. 애정하던 배당주인 맥쿼리인프라를 기준으로 내용을 말해보면,맥쿼리인프라는 반기마다 배당을 하고 있는데, 2023년에는 6월 주당 385원, 12월 주당 390원의 배당을 주면서 연간 주당 775원의 배당금을 줬습니다. 2024년 6월에는 380원..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이해, 회계처리

2018년 금융자산 기준서가 개정되면서 기존에 단기매매증권이라는 용어로 익숙했던 개념이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라는 다소 생소한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016년 회계사 시험 합격 이후인지라 수험생이 아님에도 기준서를 찾아보면서 꽤나 귀찮았던(?) 기억이 있는 변화이기도 했습니다. 금융자산을 크게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개념 차이는 제법 명확한 편이기 때문에 글로 담아봅니다. 금융자산은 파고들면 한도끝도 없지만 실무적으로도, 통상의 목적으로도 채무증권(채권)과 지분증권(주식)의 처리정도만 머릿속에 담으면 충분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가급적 깔끔(?)하게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당기손익-공정..

스낵 지식 2025.05.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