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2

현대차, 현대차우, 현대차2우b :우선주의 종류와 그 특징

일반적으로 동일한 의결권과 동일한 배당을 받는 보통주와 달리, 특정 권리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한 우선주가 발행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의 성향의 따라 배당에 초점이 맞춰진 우선주를 찾는 분들도 이제 정말 많아 진것 같은데요 ​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이익분배에 우선적 지위가 인정됩니다. 회사의 영업에 관심이 없고 오로지 배당만이 중요하다면 주주로서의 의결권 행사보다는 재산분배를 받는 편이 훨씬 좋겠죠. ​ 기업이 우선주를 발행하는 이유는 심플합니다. 자금 조달이 필요한 시점에서 주식을 발행해서 자금조달을 하고 싶지만 지배력을 약화시키기 싫은 경우에 의결권을 부여하지 않아도 되는 우선주를 발행하면서 돈을 땡기기 위함인데요 기업입장에서는 금융비용을 줄이면서 경영권 유지에도 유용한 우선주..

거침없는 퇴사의 이유를 찾아: 아담스(Adams)의 공정성 이론

사회현상으로 MZ세대의 퇴사율이 높다라는 기사는 많은 분들이 이미 접하셨을텐데요.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비단 MZ세대의 퇴사율이 높다기보다는 사회 전반에서 평생직장의 개념이 약해지고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업력이 오래된 회사에 입사한 젊은 직원들에게는 불공정하다고 느껴질만한 요소는 참 많고, 더 이상 참고만 사는 것이 미덕은 아닌 시대가 된 것은 확실한 트렌드 같습니다.제 생각에는 요즘 세대가 가장 못참는 부분이 이미 세팅된 사회의 룰에 의해 정해진 준거적 권력에 무지성으로 따르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불공정을 그저 넘기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구나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가 이유는 알수 없으나 과거 경영학 기본서에서 보던 이론이 하나 생각나서 끄적여보기 시작합니다...

스낵 지식 2025.06.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