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재무상식

주식가치 평가법(1) : PER(Price Earing Ratio)법 - 주가수익비율법

똑똑한 선배 2025. 7. 9. 07:31

 

회사 공모와 관련한 투자설명서를 보다보면 평가방법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설명서 자체에 거리감을 느끼거나 그 속의 담긴 정보를 모두 이해하는 분은 많지 않을 것 같은데요.

가치평가방법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다면 공시를 보는데 더 많은 내용이 와닿겠다는 생각에 방법론을 간단히 정리해볼까합니다.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ER법부터 간단히 소개해보려합니다.

​1. 절대가치 / 상대가치 평가법?
2. PER Valuation 개념
3. PER법을 사용한 기업평가 예시

1. 절대가치 / 상대가치 평가법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은 절대가치, 상대가치 평가법으로 나뉩니다..

절대가치 평가법의 대표격으로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할인모형(DCF : Discounted Cash Flow Method)이나 본질가치평가법이 있는데 이 방법들은 모두 객관적인 기준에 따른 현금흐름 추정이나 실적이 있을때 비로소 적용이 가능합니다.

상대가치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는 상대가치 평가법은 적절한 비교군을 선택할 수 있을때, 그 상대방과 비교를 해가며 가치평가를 하는 방식입니다. 추정에 사용하는 정보의 수준이 절대가치 평가법에 비해 적고 현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가 많기에 공시되는 투자설명서에서 상대가치 평가법을 비교적 더 보기가 쉽습니다.

기본적으로 주식시장이 기업들의 가치를 평균적으로 잘 평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분석대상기업과 비교기업을 비교, 평가하기에 적용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다만, 이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비교기업 선정시에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하고 시장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기에 완벽하지는 않죠

상대가치 평가법에는 PER, PBR, EV/EBITDA, PSR 등의 방식​이 있는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법을 공시 예시를 곁들여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2. PER Valuation 개념

PER(Price-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은 해당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이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기업 수익력에 대한 시장 평가가 반영된 지표라고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그 개념이 명확하고 산출이 쉬워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0. 8. 31자 카카오게임즈의 투자설명서 사례를 통해 내용을 더 확인해보겠습니다.

['20. 8. 31자 카카오게임즈 투자설명서 중]

 

카카오게임즈는 비교대상으로 이미 많은 게임회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PER을 사용한 것은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NC소프트나 넷마블 등 이미 유가증권시장에 많은 비교군이 존재하죠

방식은 간단합니다. 공모희망가액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유사기업의 PER을 구한후 카카오게임즈의 주당이익을 산출하여 곱하면 그것이 곧 PER를 활용하여 산출한 카겜의 가치가 되고 이는 시가총액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아래 공시내용에서도 사용한 방식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죠

* 추정 시총 = 유사기업 평균 PER x 카카오게임즈 주당이익(당기순이익 / 주식수)

 

반응형

 

3. PER법을 활용한 기업평가 예시

 

['20. 8. 31자 카카오게임즈 투자설명서 중]

 

카카오게임즈는 Tencent, NetEase, 넷마블, 엔씨소프트를 비교군으로 선정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 기업이 비교군에 선정되는 것은 상당히 옳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국내 대표적인 게임사도 포함되었으니 보완이 된 것 같습니다. 앞서서도 간단히 말씀드렸지만 비교군을 선정할때는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된다는게 가치평가 방법의 단점이 존재합니다.(모두를 만족시키는 비교군은 없는걸지도?!)

['20. 8. 31자 카카오게임즈 투자설명서 중]

 

위의 공시화면을 보면 비교군의 PER을 구하고 이를 통해 적용할 PER을 구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20년 1분기 순이익을 당시 상장주식수로 나눠 주당순이익을 구하고, 당시 주가를 이 주당순이익으로 나누어 PER을 구했습니다. 어렵지 않죠

['20. 8. 31자 카카오게임즈 투자설명서 중]

 

적용할 PER를 구했으니 이제 동일기간 카겜의 순이익을 구하고 이를 통해 평가 시가총액을 구하면 됩니다.

적용순이익은 공시자료를 통해 확인했음을 알 수 있네요, 650억원의 순이익에 적용 PER을 곱하여 시가총액이 2.27조원으로 구해졌고 7,577만주의 주식수로 나누어 주당 29,950원의 평가가액이 나왔습니다.

['20. 8. 31자 카카오게임즈 투자설명서 중]

 

위에서 주당 가치를 29,950원으로 구했지만 실제로 공모가액을 산정할때는 항상 할인율을 적용합니다. 카겜의 공시에는 정하곤 하는데 평가절차에는 주관이 개입하다보니 평가가액에 존재하는 위험을 반영하여 희망 공모가액을 낮추는 절차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위 공시에선 할인율 33.22~19.87%를 적용했고 희망 공모가액 밴드에서 가장 높은 금액인 24,000원이 수요예측결과까지 반영한 확정공모가액으로 정해졌습니다.

PER은 재무회계의 기본만 이해하고 계시다면 약간의 노력으로 이해하기에 어렵지 않은 방법입니다.

공시를 보시거나 궁금한 회사의 가치를 약식으로라도 구해보실때 활용해보시면 은근 재미(?)를 느끼실 것 같네요!

이 포스팅도 잔잔한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D

 
반응형